티스토리 뷰
Windows 기준
기본 터미널 변경
Ctrl + Alt + s 로 Settings 켜기. 혹은 File - Settings.
검색창에서 terminal 검색. 혹은 Tools - Terminal.
아래와 같이 cmd.exe로 되어있거나 powershell로 되어있는 것을 원하는 path로 변경.

필자는 WSL을 사용하고 싶어서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다.
C:\WINDOWS\system32\wsl.exe -d Ubuntu
이제 터미널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설정한 터미널로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(WSL로 인해 너무 길게 나오는 유저명과 PATH가 거슬린다면 여기를 참고해보자)

폰트 크기 변경
Ctrl + Alt + s로 Settings 열기.
검색창에 Color Scheme 검색. 혹은 Editor - Color Scheme - Color Scheme Font와 Console Font
Use color scheme font instead of default에 체크 표시.
이후 원하는 폰트 스타일과 사이즈로 변경 후 저장.
Console Font도 정확히 똑같은 포맷으로 되어있으니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.
Console Font는 터미널의 폰트를 변경하는 설정이다.

시스템 폰트 크기 변경
Preferences => Appearance & Behaviors => Appearance => Use custom font에 체크 후 Size를 원하는 크기로 변경
Global로 적용되는 설정으로 Comment, Project 등 전체적인 글씨 크기를 조정 할 수 있음

Editor - General의 Change font size with Ctrl + Mouse Wheel in:
설정은 에디터가 종료되면 위 설정값으로 리셋되는 설정이다.
값을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싶다면 위의 Scheme을 변경해야 한다.
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dows AHK Capslock 키 하나를 한영전환, Esc, Ctrl로 동작하게 만들기 (0) | 2023.01.04 |
---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neovim
- ModelAttribute
- 도커
- vim
- 배포
- 레디스
- RequestParam
- IDE
- RequestBody
- 아키텍처
- lunarvim
- JavaScript
- Dap
- 루나빔
- RequestPar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30 | 31 |